가상메모리 [OS] 가상 메모리의 관리 2020. 5. 11.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 적재 정책(Fetch Strategy) 요구 적재(Demand Fetch) : 요구 페이징이라고도 하며 페이지가 참조될 때 적재하는 기법 페이지들만으로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메모리에 관한 오버헤드가 없음. 페이지가 적재될 때까지 해당 프로세스를 대기 상태로 만드는 문맥 교환과 디스그와의 입출력 부담 예측 적재(Anticipatory Fetch) : 선 페이징이라고도 하며 예측을 통해 확률적으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페이지를 미리 적재시키는 기법 예측이 잘 될 경우 페이지 부재 빈도를 낮춤. 예측이 안 될 경우 예측을 위한 오버헤드와 참조되지 않을 페이지를 적재한 메모리의 낭비 발생 배치 정책(Placement Strategy) 페이징 시스템의 경우 빈 프레임만 발.. [OS] 가상 메모리 : 페이징과 세그먼테이션 2020. 5. 10. 가상 메모리를 위해서는 모든 프로그램들은 작은 조각들로 나눠지게 되는데, 조각들의 크기를 모두 같도록 하면 한 조각을 페이지(Page)라 부르고, 서로 다르게 하면 조각들 각각을 세그먼트(Segment)라 부른다. 페이지와 세그먼트가 메모리와 디스크 사이에서 한 번에 전송되는 전송 단위는 블록(Block)이다. 가상 메모리의 관리에서 페이지로 나누었을 경우를 페이징, 세그먼트로 나누었을 경우를 세그먼테이션 시스템이라 부른다. 프로그램에서 참조하는 가상 주소(Virtual Address)와 실제 메모리에 있는 실 주소(Real Address)가 달라서 메모리 상의 주소로 변환이 필요할 때 하는 것이 사상(Mapping)이다. 실 주소 = 페이지 프레임(f) + 오프셋(d) 페이징(Paging) 페이징을 위.. 이전 1 다음 1/1